본문 바로가기

일상15

에너지 넘치는 직장인의 하루를 위한 '식사' 1. 당신의 에너지를 되살리는 한 잔 – 방탄커피의 비밀『최강의 식사』의 시작은 한 잔의 커피에서 비롯된다.저자 데이브 아스프리는 티베트 고산지대에서 야크 버터차를 마신 경험을 바탕으로,공복 상태에서 뇌가 맑아지고 에너지가 솟는 경험을 과학적으로 풀어낸다.그 결과물이 바로 방탄커피다.방탄커피는 블랙커피 1잔에 방목 버터 1큰술, MCT오일 1큰술을 넣고 믹서기에 섞어 만드는 고지방 커피다.공복 상태에서 이 커피를 마시면 인슐린 급등을 막고, 뇌는 빠르게 케톤 에너지를 공급받아 집중력과 기억력이 향상된다.저자는 말한다.“좋은 지방을 먹으면 배고픔이 사라지고, 뇌가 깨어난다. 무엇을 먹느냐보다 ‘무엇을 피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데이브 아스프리, 『최강의 식사』)아침에 방탄커피 한 잔이면, 설탕과 탄수화물.. 2025. 7. 15.
1978년 3월 24일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3가 250-10에는 '목월공원'이 있다.해마다 3월 24일 즈음, 목월공원에 예쁜 꽃을 놓고 가는 이들이 있다. 본명은 박영종(박목월)출생은 1915년 1월 6일 경남 고성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사망은 1978년 3월 24일18세인 1933년 개벽사에서 발행하는 잡지 에 동시월호에 그의 시 '제비맞이'가 당선되어 동시를 주로 쓰는 시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본격적인 작품활동은 1940년 의 9월호에 '가을 어스름', '연륜'으로 추천 완료하여 본격적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꽤 오랫동안 보아왔는데 이번엔 좀 남다르게 다가왔다.벌써 박목월 시인이 사망한 지 40년을 훌쩍 넘겼는데도 그 이름 아니 그를 추모하는 손길이 있다는 것이 매우 의미 있게 다가왔다.나는 '로고테라피'를.. 2025. 3. 24.
만족스럽지 않은 나를 '동기'로 삼아라 나는 늘 자신에 대해 만족스럽지 않았다.항상 부족해 보였고,내가 어떤 목표를 세워서 실행하고자 하면, 항상 부족하다는 생각에 주저앉았다.나는 왜 그랬던 것일까?항상 무언가 배우는 것을 즐겨왔다.그래서 그 배움의 시간이 주는 즐거움에 푹 빠졌다.그러나 금방 다시 '새로움'을 갈망하는 나를 마주한다."이 길도 아닌가? 더 깊이 생각하고, 전략적으로 했어야 했는데..." 라며 뒷걸음을 쳤다.나는 항상 내가 무얼 할 수 있을까?아니 잘할 수 있을까?난 어디에 필요할까?질문하며 고민하지만 답에 닿지 못하고 있다.저물어가는 저녁노을처럼 나의 삶이 그렇게 저물지는 않을까 두렵다.내가 대단한 사람은 아니다.그러나 나는 내 생에 좀 더 의미 있게 흔적을 남기고 싶은 욕구가 있다.비가 내리는 아침이다.비가 땅에 닿으면 많.. 2024. 7. 17.
꿈을 꾸기 시작하는 50대! 나는 꿈을 꾸는 50대다. 요즘 나는 나의 미래를 어떻게 살까? 매일 고민하고 있었다. 왜냐고? 모르겠다. 그냥 나의 운명이 나를 이끄는 것이리라. 어릴 때부터 나의 꿈은 '사회복지사' 자격은 취득했지만 사회복지사로서 사회에 복지향상을 위해 기여하지는 못 한 것 같다. 그냥 간략히 오늘 세수하면서 떠오른 나의 꿈을 적어보련다. 이유 불문하고 장벽 불문하고 방법 불문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문제인 자살률을 줄이기 위한 방법 모색이 것을 위해 인적 자원 물적 자원을 위해 기도하고 집중하자. 이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이유도 나와 함께 힘을 모을 책임감 있는 이 나라의 사람들을 사랑하는 어른을 찾고 싶은 마음에서다. 미국의 유명한 책 '신경 끄기의 기술'의 저자 마크 맨슨은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에.. 2024. 5. 22.
반성하는 68세대를 보았다! 너는? 요즘 방송에서나 유투브에서 반성하는 '어른다운 어른'을 보면서 배우고 있다. 과거 내가 고등학교시절에는 대학생들의 '민주항쟁'운동으로 인한 집회가 잦았다. 최루탄을 쏘아대는 정부로 인해 눈물, 콧물이 쏟아지고, 항쟁을 하는 인파는 갖은 방법으로 대항하는 모습을 자주 보았다. 결국 군 정권이 무너졌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었다. 군정권은 끝이 났고, 우리가 직접 대통령 선거를 하고 있다. 딱 거기까지다. 정치적 민주화는 일어났지만 경제적 민주화 사회적 민주화, 교육적 민주화는 어떤가? 현재 불평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그것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선진국 반열에 오르고 기적의 한국이라는 칭찬뒤에 숨은 우리의 이웃이 겪고 있는 자살률 1위! 최악의 청소년 행복도 노인 빈곤률 이 위기의 이.. 2024.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