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1 오펜바흐 '자클린의 눈물'로 회복되는 마음 🌿 자클린의 눈물에 대하여기본 정보곡명: Les Larmes de Jacqueline (프랑스어, 해석하면 “자클린의 눈물”)영어 제목: Jacqueline’s Tears YouTube+2 Brunch작곡가: Jacques Offenbach (자크 오펜바흐, 1819-1880)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3 함께+3 하는 클래식+3 Psychiatric+3 News+3발표 / 세상에 알려진 경위: 이 곡은 작곡 당시에는 미발표로 남아 있었고, 약 100년 이상 잊혀져 있다가 독일의 첼리스트 베르너 토마스 (Werner Thomas-Mifune)가 발견·공개하면서 알려지게 되었어요. 함께 하는 클래식+3 Psychiatric+3 News+3 인생은+3 짧고 예술은 길다+3역사와 이야기이 곡이 단지 감성적 .. 2025. 10. 10. 회피, 부부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부부 관계는 사랑으로 시작되지만,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이 발생합니다.이때 배우자와의 갈등을 피하려는 ‘회피(avoidance)’ 행동은 우리 부부 생활 속에 자주 나타납니다.흔히 회피라고 하면 무조건 나쁘게 생각하기 쉽지만, 때로는 갈등을 예방하는 지혜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문제를 키우는 독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회피성향이 부부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회피가 좋은 경우 (부부관계 속 긍정적 기능) 회피는 즉각적인 충돌을 피하고, 감정을 조절하거나 대화를 준비하는 시간을 벌어주는 긍정적 기능을 합니다.남편이 분노가 폭발하기 직전, 잠시 자리를 피해 산책을 하며 진정 → 불필요한 폭언 예방아내가 직장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은.. 2025. 9. 1. 나이가 들수록 멀어지는 대화, 다시 이어가는 법 “남편과 결혼해서 처음에는 말수가 적은 사람이었어요. 그러나 50이 넘으면서 못 말리는 수다쟁이가 되었어요.그런데 문제는 자기 얘기만 하고, 제 말은 들으려 하지 않아요. 대화가 점점 싫어지고, 기대가 사라집니다.”많은 부부가 이런 고민을 나눕니다. 서로의 말이 엇갈리면서, 대화는 오히려 거리를 만드는 시간이 되기도 합니다.그러나 관계는 연습을 통해 다시 살아날 수 있습니다.📌 왜 대화가 어긋날까?박상미 교수는 『관계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에서 “사람은 누구나 자기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하지만,좋은 관계는 ‘듣기’를 통해 자란다”라고 말합니다.듣는 연습이 없는 대화는 결국 벽에 부딪히게 되죠.또한 최성애 박사는 『행복수업』에서 “행복한 부부는 문제없는 부부가 아니라,문제를 풀어가는 대화법을 가진 부부”라.. 2025. 8. 18. 상처는 왜 대물림되는가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보이지 않는 사슬 1. 상처가 전해지는 이유가정은 원래 사랑과 안전함을 주는 곳이어야 하지만,때로는 오히려 상처를 주는 장소가 되기도 합니다.더 안타까운 건, 이 상처가 한 세대에서 끝나지 않고다음 세대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입니다.심리학에서는 이를 **세대 간 전이(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라고 부릅니다.이 과정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학습된 관계 방식아이는 부모의 말투, 갈등 해결 방식, 감정 표현을 그대로 보고 배우며 성장합니다.사랑받는 방법뿐 아니라, 상처 주는 방법까지도 ‘이게 정상’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애착의 영향안정된 애착을 경험하지 못한 아이는성인이 되었을 때 관계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쉽게 느낍니다.‘사람.. 2025. 8. 11. 지금 이 순간도 가족이기에 의미 있습니다 청소년기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마음 연습 “우리 가족은 왜 이렇게 힘들기만 할까요?”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해봤을 고민입니다.말이 통하지 않고, 작은 일에도 쉽게 부딪히고, 서로 상처받고…하지만 그럴수록 우리는 질문해야 합니다.“나는 지금, 우리 가족과 함께 잘 살아가고 있는가?”오늘은 박상미 교수님의 세 권의 책을 바탕으로,가족이기에 겪는 어려움과, 그 안에서 성장하는 연습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1. 말이 오가는데 마음은 닫혀 있는 우리 – 소통 연습“우리 아이가 왜 이렇게 말이 없을까?”“말만 하면 짜증을 내요.”청소년기 자녀는 말이 줄고, 예민하고, 쉽게 부정적 감정을 드러내곤 합니다.부모는 이를 반항으로 받아들이지만, 그 속엔 말로 다 표현하지 못한 불안과 혼란이 있습.. 2025. 8. 7.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