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

시련이 주는 의미를 알게 될 때 시련의 의미를 찾게 돕는 로고테라피 나이 들어가는 나를 사랑한다.나는 반백 년을 살았다.사실 이 말을 하는 나도 참 낯설게 느껴질 만큼 내 나이가 의심스럽다.어느새 반백 년의 세월을 살다니. 어릴 때는 나이의 의미를 몰랐다.지금은 다 안다? 그건 아닐 것이다.만약에 내가 앞으로 10년, 20년, 30년을 더 산다면 그때도 나는 나이의 의미를 완벽히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나이 들어가는 것은 ‘익어가는 것이다’라는 표현처럼 나의 나이 듦이 좋다. 어릴 적에는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 앞에 서 있는 것처럼 두렵고, 아득했다.그리고 내가 잘살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질 지적 수준도 안 되었다.그저 남들 속에 어우러져 살아야 하니까 살았다. 이제 나는 내게 묻는다.잘 살고 있니?그동안 잘 살았니?.. 2024. 6. 25.
자살 유족의 개념과 애도 단계 자살 유족의 범위와 존 볼비의 애도 단계 자살 유족이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www.kfsp.or.kr 1. 자살 유족이란 사랑하는 사람을 자살로 잃어버린 사람들을 말한다.이는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이며, 이후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자살 유족은 첫째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있다.사랑하는 가족을 자살로 인해 여의 슬픔과 죄책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큰 상처를 남긴다. 둘째 심리 정서적으로 가까운 사람이 있다.고인이 사망 이전에 매우 친밀도 있게 영향을 주고받은 사람 또한 혈연관계의 가족못지않게 깊은 상처를 받고, 힘들어진다. 셋째 자살 사건 혹은 고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람이라도,자살에 대한 소식을 듣고 우울감이 심해지고 자살 충동이 증가하는 사람 역시자살 유족에 해당한다... 2024. 6. 25.
꿈을 꾸기 시작하는 50대! 나는 꿈을 꾸는 50대다. 요즘 나는 나의 미래를 어떻게 살까? 매일 고민하고 있었다. 왜냐고? 모르겠다. 그냥 나의 운명이 나를 이끄는 것이리라. 어릴 때부터 나의 꿈은 '사회복지사' 자격은 취득했지만 사회복지사로서 사회에 복지향상을 위해 기여하지는 못 한 것 같다. 그냥 간략히 오늘 세수하면서 떠오른 나의 꿈을 적어보련다. 이유 불문하고 장벽 불문하고 방법 불문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문제인 자살률을 줄이기 위한 방법 모색이 것을 위해 인적 자원 물적 자원을 위해 기도하고 집중하자. 이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이유도 나와 함께 힘을 모을 책임감 있는 이 나라의 사람들을 사랑하는 어른을 찾고 싶은 마음에서다. 미국의 유명한 책 '신경 끄기의 기술'의 저자 마크 맨슨은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에.. 2024. 5. 22.
'놀라움의 힘'_1편 의 '놀라움의 힘'은 정말 놀라운 책이다.한 사람의 인생을 돌아보게 하며,또 다른 사람을 생각하게 하는 힘이 있다.확증 편향, 인지 편향, 역화 효과, 믿음이런 단어들이 얼마나 내 삶에 깊은 영향을 주는지 돌아보게 하였다.이란 나의 가치관이나 기존의 신념 혹은 판단 따위와 부합하는 정보에만 주목하고그 외의 정보는 무시하는 사고방식과 태도를 말한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은 어떤가?확증 편향을 가지고, 그것을 지키려고 애쓰지 않는가?이 확증 편향을 반박하거나, 이견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대하는가?인간은 누구나 편향된 사고를 한다? 이 말에 동의하는가?은 또 어떻게 형성되고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마이클 루셀은 말한다. 믿음은 고유함을 만들고,편향은 고유함을 유지시킨다.                .. 2024. 5. 20.
반성하는 68세대를 보았다! 너는? 요즘 방송에서나 유투브에서 반성하는 '어른다운 어른'을 보면서 배우고 있다. 과거 내가 고등학교시절에는 대학생들의 '민주항쟁'운동으로 인한 집회가 잦았다. 최루탄을 쏘아대는 정부로 인해 눈물, 콧물이 쏟아지고, 항쟁을 하는 인파는 갖은 방법으로 대항하는 모습을 자주 보았다. 결국 군 정권이 무너졌다. 그러나 그것이 끝이었다. 군정권은 끝이 났고, 우리가 직접 대통령 선거를 하고 있다. 딱 거기까지다. 정치적 민주화는 일어났지만 경제적 민주화 사회적 민주화, 교육적 민주화는 어떤가? 현재 불평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그것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선진국 반열에 오르고 기적의 한국이라는 칭찬뒤에 숨은 우리의 이웃이 겪고 있는 자살률 1위! 최악의 청소년 행복도 노인 빈곤률 이 위기의 이.. 2024.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