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라우마3

상처는 왜 대물림되는가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보이지 않는 사슬 1. 상처가 전해지는 이유가정은 원래 사랑과 안전함을 주는 곳이어야 하지만,때로는 오히려 상처를 주는 장소가 되기도 합니다.더 안타까운 건, 이 상처가 한 세대에서 끝나지 않고다음 세대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입니다.심리학에서는 이를 **세대 간 전이(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라고 부릅니다.이 과정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학습된 관계 방식아이는 부모의 말투, 갈등 해결 방식, 감정 표현을 그대로 보고 배우며 성장합니다.사랑받는 방법뿐 아니라, 상처 주는 방법까지도 ‘이게 정상’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애착의 영향안정된 애착을 경험하지 못한 아이는성인이 되었을 때 관계에서 불안과 두려움을 쉽게 느낍니다.‘사람.. 2025. 8. 11.
나는 왜 살아남았는가_3 무너진 가정, 남겨진 아이어린 나는 어떻게 살았나나는 늘 또래 아이들과 조금 달랐다.나는 늘 또래 아이들과 조금 달랐다.또래 친구들보다는 한참 나이 많은 언니들과 대화하는 게 더 편했다. 어린 나이에 어른스러운 말투, 어른스러운 표정, 그리고 어른처럼 조용하고 눈치 빠른 아이.사람들은 가끔 나에게 물었다. “너 왜 이렇게 조용해?” “너 눈이 왜 이렇게 슬퍼?”나는 대답하지 않았다. 내 눈이 슬퍼 보인다는 사실을 그 누구보다도 내가 제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슬픔은 집에서부터 따라왔다. 아버지가 술을 마시고 고함을 지르는 날이면 엄마는 또 울고, 나는 또 조용히 웅크려야 했다.어린 나는 홍수처럼 넘실대는 냇물에 양초를 띄우며 소원을 빌었다. 비가 내리는 날에도 나는 기도했다. “오늘은 아버지가 .. 2025. 8. 5.
트라우마,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꾼다 외상 후스트레스장애 사람이 전쟁, 고문, 자연재해, 사고 등을 경험한 후 그 사건 후에도 지속적인 재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므로 건강하고 밝게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직접적인 경험은 물론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도 이러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정신과 의사 폴 콘티는 트라우마를 바이러스, 오염, 기생충에 비유했다. 우린 이미 경험했다. -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고통을 경험했다. 그 파급력은 엄청나다 - 트라우마는 우리가 마시는 공기와 흡사하다. 어디나 존재하고, 보이지 않으나 오염된 공기는 우리의 건강을 위협한다. - 톡소플라스마(기생충)는 다른 숙주 안에서 각각 다른 발달 단계를 거치는 기생충이다. 이 톡소플라스마는 쥐에서 고양이로 숙주를 옮기도록 진화되었다. 톡.. 2024.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