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 건강 관련33

조현병에 대하여 개요 최근 조현병을 앓고 있는 환자로 인한 사건 사고 뉴스를 접하고 조현병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생긴 분들이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극히 일부의 조현병 환자들의 이야기이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치료를 잘 받고 있는 위험하지 않는 환자들입니다. ‘조현’은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입니다. 조현병은 전 세계 인구의 0.5~1%가 앍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25만에서 50만 명의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표 증상 음성증상: 대인관계를 피하고 말수가 적고 외부 활동을 하지 않으려는 증상을 말합니다. 양성증상: 자신을 비난하거나 욕하는 환청, 자신을 해코지할 것이라고 믿는 피해망상이 있습니다. 사실 이런 부정적인 증상을 경험하면 무섭게 느껴질 것입니다. 그러나 가장 고통스러운 사람은 조.. 2023. 10. 3.
내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_저자 이시형+박상미 저자 소개 이시형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자 뇌과학자. 한국의미치료학회 회장. 이시형 TV운영 경북대 의대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신경 정신과학박사후과정(P.D.F)을 밟았으며, 이스턴주립병원 청소년과장, 경북의대·서울의대(외래)·성균관의대 교수, 강북 삼성병원 원장,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실체가 없다고 여겨지던 '화병(Hwa-Byung)'을 세계정신의학용어로 만들었다. 박상미 5만 7천여 명 교도소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마음치유교육(법무부 방송)을 했으며, 교도소와 소년원,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마음치유학교'를 연다. 한국의미치료학회 부회장. '더 공감 마음학교' 대표 독일에서 빅터 프랭클의 '의미치료'의 놀라운 효과를 체험한 후 의미치료 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나를 죽이.. 2023. 10. 2.
심리 상담사 공부를 하며 알게 된 거장 빅터 프랭클 빅터 프랭클 지음 / 박상미 옮김 1905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학자, 철학자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온 가족이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수용소에 끌려간 후 5년 동안 네 군대의 수용소를 거쳐 끝내 살아남았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과 더불어 정신요법 제3학파라 불리는 로고테라피 학파를 창시하였다. 빅터 프랭클은 어린 시절 부모님과 정서적으로 매우 친밀했다고 합니다. 세 살 때 의사가 되기로 마음먹을 정도로 또래 어린아이들의 꿈과는 달랐습니다. 빅터 프랭클이 성공한 세 가지 원칙은 첫째 '작은 일을 할 때는 큰일을 할 때처럼 철저하게 하고, 큰일을 할 때는 작은 일을 할 때처럼 편안하게 하라' 둘째 '일을 할 때는 신속하게 처리하라.' 셋째 '가장 하기 싫은 .. 2023.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