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

'알코올 중독' 부모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 알코올중독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의 특징알코올중독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들은 다양한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이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 1. 정서적 불안정과 낮은 자존감알코올중독 가정에서 자란 자녀들은 부모의 반복적인 실수와 예측 불가능한 행동,그리고 그로 인한 가정 내 갈등과 긴장 속에서 성장합니다.이러한 환경은 자녀에게 정서적 불안정, 우울감, 낮은 자존감, 그리고 공허감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릴 때는 생존을 위해 감정을 억누르거나, 즉각적인 만족이나 충동을 추구하는 등 특유의 생존 양식을 발달시키지만,성인이 되어서는 이러한 방식이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아 생활에 대한 불만족과 우울, 불안 등의 증상이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또한, 알코올중독 .. 2025. 6. 21.
'삶'이 주는 질문에 답하며 산다 ‘죽음’을 통해 비로소 드러나는 ‘삶’의 찬란함과 의미죽음은 인간에게 두려움과 숙연함을 안겨주지만,동시에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본질적 의미와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이 되기도 합니다.스테파니 그린 박사의 『나는 죽음을 돕는 의사입니다』(Stephanie Green, This Is Assisted Dying, 2021)는캐나다에서 의료조력사망(MAiD)이 법제화된 이후, 죽음을 앞둔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삶과 죽음,그리고 존엄에 대해 깊이 성찰하게 합니다.이 책을 통해 우리는 죽음이 단순히 끝이 아니라,오히려 삶을 더욱 귀하게 여기고 사랑을 더 크게 표현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출처: Stephanie Green, This Is Assisted Dying, 2021; 한국일.. 2025. 5. 30.
1978년 3월 24일 서울시 용산구 원효로 3가 250-10에는 '목월공원'이 있다.해마다 3월 24일 즈음, 목월공원에 예쁜 꽃을 놓고 가는 이들이 있다. 본명은 박영종(박목월)출생은 1915년 1월 6일 경남 고성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사망은 1978년 3월 24일18세인 1933년 개벽사에서 발행하는 잡지 에 동시월호에 그의 시 '제비맞이'가 당선되어 동시를 주로 쓰는 시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본격적인 작품활동은 1940년 의 9월호에 '가을 어스름', '연륜'으로 추천 완료하여 본격적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꽤 오랫동안 보아왔는데 이번엔 좀 남다르게 다가왔다.벌써 박목월 시인이 사망한 지 40년을 훌쩍 넘겼는데도 그 이름 아니 그를 추모하는 손길이 있다는 것이 매우 의미 있게 다가왔다.나는 '로고테라피'를.. 2025. 3. 24.
“감정의 다양한 형태를 알아가는旅” (여행) 오늘은 ‘감정 호텔’ 저자 리디아 브란코비치의 책을 읽은 소감과 감정을 잘 표현하여 건강한 마음을 갖는 데 도움이 되도록 소개하고 싶다. ’ 감정‘감정은 다루기 어렵다. 왜? 쉽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보이지 않으니까 그렇다.당신은 감정이 풍부한 사람인가? 반대로 감정이 메마른 사람인가? 이 질문은 바로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일 것이다.  감정 호텔은 이렇게 시작한다. “감정 호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나는 이 호텔의 지배인이에요.이곳에 머무르는 다양한 감정들을 보살피지요.” _출처: ’ 감정 호텔‘  내가 생각하는 감정 호텔은 바로 ’나‘라는 생각 한다..호텔의 지배인 또한 ’나‘이다.감정 호텔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시작하는 부분이 마음에 든다.참고로 이 지배인은 어떤 손님 .. 2025. 2. 16.
현재 인생의 '고난'의 시간을 마주하고 있다면... 옛 격언에 이르기를 ‘돈에 눈이 멀어 친구를 버리면, 자식이 눈이 먼다’ 하였다.사람들이 이 격언을 가지고 나를 공격하는구나. 사람들이 와서 내 얼굴에 침을 뱉는구나.근심 때문에 눈이 멀고, 팔과 다리도 그림자처럼 야위어졌다. 정직하다고 자칭하는 자들이이 모습을 보고 놀라며, 무죄하다고 자칭하는 자들이 나를 보고 불경스럽다고 규탄하는구나. 자칭 신분이 높다는 자들은, 더욱더 자기들이 옳다고 우기는구나.그러나 그런 자들이 모두 와서 내 앞에 선다 해도, 나는 그들 가운데서 단 한 사람의 지혜자도 찾지 못할 것이다.욥기 17:5‭-‬10 RNKSV 성경의 한 구절을 가져와 보았다. '욥'이라는 한 인물이 하루 아침에 재산, 자녀들을 모두 잃고, 그것도 모자라 자신의 온 몸에는 진물이 흐르는 고통속에 빠졌다... 2024. 10. 31.
‘비극속에서의 낙관 3가지_로고 테라피 '로고 테라피' 창시자 빅터 프랭클(1905.3.26.~1997.9.2.)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한유대인이다.히틀러가 유대인을 탄압할 때 빅터 프랭클 박사도 4곳의 수용소를 거치며 치열한 생존의싸움을 경험했다.‘죽음의 수용소에서’는 그 당시 수감 생활 중 일어났던 일화를 바탕으로 기록했다. 1. 강제 수용소에서의 체험2. 로고테라피의 기본개념3. 비극속에서의 낙관이렇게 세 개의 큰 주제 아래 작은 주제들을 포함하여 기술되었다.이미 우리는 영화 또는 기록을 통해 히틀러가 어떻게 유대인을 탄압했는지,유대인들의 증언을 통해 수용소에서의 삶이 인간으로서 겪어서는 안 될 정도로 혹독했는지알고 있다. 빅터 프랭클 박사는 이 책에서 ‘한 개인의 체험의 명확한 본질이 무엇인가?’ 그리고수용소 생활을 겪어본 사람들을 .. 2024. 8. 25.
만족스럽지 않은 나를 '동기'로 삼아라 나는 늘 자신에 대해 만족스럽지 않았다. 항상 부족해 보였고, 내가 어떤 목표를 세워서 실행하고자 하면, 항상 부족하다는 생각에 주저앉았다. 나는 왜 그랬던 것일까? 항상 무언가 배우는 것을 즐겨왔다. 그래서 그 배움의 시간이 주는 즐거움에 푹 빠졌다. 그러나 금방 다시 '새로움'을 갈망하는 나를 마주한다. "이 길도 아닌가? 더 깊이 생각하고, 전략적으로 했어야 했는데..." 라며 뒷걸음을 쳤다. 나는 항상 내가 무얼 할 수 있을까? 아니 잘할 수 있을까? 난 어디에 필요할까? 질문하며 고민하지만 답에 닿지 못하고 있다. 저물어가는 저녁노을처럼 나의 삶이 그렇게 저물지는 않을까 두렵다. 내가 대단한 사람은 아니다. 그러나 나는 내 생에 좀 더 의미 있게 흔적을 남기고 싶은 욕구가 있다. 비가 내리는 아.. 2024. 7. 17.
시련이 주는 의미를 알게 될 때 시련의 의미를 찾게 돕는 로고테라피 나이 들어가는 나를 사랑한다.나는 반백 년을 살았다.사실 이 말을 하는 나도 참 낯설게 느껴질 만큼 내 나이가 의심스럽다.어느새 반백 년의 세월을 살다니. 어릴 때는 나이의 의미를 몰랐다.지금은 다 안다? 그건 아닐 것이다.만약에 내가 앞으로 10년, 20년, 30년을 더 산다면 그때도 나는 나이의 의미를 완벽히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까지는 나이 들어가는 것은 ‘익어가는 것이다’라는 표현처럼 나의 나이 듦이 좋다. 어릴 적에는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 앞에 서 있는 것처럼 두렵고, 아득했다.그리고 내가 잘살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질 지적 수준도 안 되었다.그저 남들 속에 어우러져 살아야 하니까 살았다. 이제 나는 내게 묻는다.잘 살고 있니?그동안 잘 살았니?.. 2024. 6. 25.
자살 유족의 개념과 애도 단계 자살 유족의 범위와 존 볼비의 애도 단계 자살 유족이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www.kfsp.or.kr 1. 자살 유족이란 사랑하는 사람을 자살로 잃어버린 사람들을 말한다.이는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이며, 이후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자살 유족은 첫째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있다.사랑하는 가족을 자살로 인해 여의 슬픔과 죄책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큰 상처를 남긴다. 둘째 심리 정서적으로 가까운 사람이 있다.고인이 사망 이전에 매우 친밀도 있게 영향을 주고받은 사람 또한 혈연관계의 가족못지않게 깊은 상처를 받고, 힘들어진다. 셋째 자살 사건 혹은 고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람이라도,자살에 대한 소식을 듣고 우울감이 심해지고 자살 충동이 증가하는 사람 역시자살 유족에 해당한다... 2024. 6. 25.